소나위키:운영 통계 (r14 판)
편집시점 :

[주의!] 문서의 이전 버전(에 수정)을 보고 있습니다. 최신 버전으로 이동
파일:지찬위키 흰색단순로고.svg
'''지찬위키의 주요 문서 ||<-1><|6><tablewidth=100%><width=50px><tablebordercolor=#FA8776><tablebgcolor=#FA8776> ||||<:><-3><bgcolor=#ffffff> {{{#FA8776 지찬위키의 규정
[[지찬위키:5원칙|{{{#FA8776
5원칙}}}]] ([[지찬위키:기본방침|{{{#FA8776 기본방침}}}]] · [[지찬위키:기본방침/문서 관리 방침|{{{#FA8776 문서 관리 방침}}}]] · [[지찬위키:기본방침/이용자 관리 방침|{{{#FA8776 이용자 관리 방침}}}]]) · [[지찬위키:개인정보 보호정책|{{{#FA8776 개인정보 보호정책}}}]]^^[[지찬위키:개인정보 보호 정책 개정기록|{{{#FA8776 개정 내역}}}]]^^ · [[지찬위키:면책 조항|{{{#FA8776 면책 조항}}}]]}}} ||||<:><-3><bgcolor=#ffffff> {{{#FA8776 지찬위키의 도움말
[[지찬위키:자주하는 질문|{{{#FA8776
FAQ}}}]] · [[지찬위키:도움말|{{{#FA8776 도움말}}}]] · [[지찬위키:권리침해 도움말|{{{#FA8776 권리침해}}}]] · [[지찬위키:문서 삭제식 이동|{{{#FA8776 문서 삭제식 이동}}}]] · [[지찬위키:더미|{{{#FA8776 더미}}}]] · [[지찬위키:다른 위키와의 차이점|{{{#FA8776 다른 위키와의 차이점}}}]]}}} ||||<:><-3><bgcolor=#ffffff> {{{#FA8776 지찬위키의 운영
[[지찬위키:사측 관리자|{{{#FA8776
사측 관리자}}}]] · [[지찬위키:관리자|{{{#FA8776 관리자}}}]] · [[지찬위키:부관리자|{{{#FA8776 부관리자}}}]] · [[지찬위키:역대 운영진|{{{#FA8776 역대 운영진}}}]] · [[지찬위키:투명성 보고서|{{{#FA8776 투명성 보고서}}}]] · [[지찬위키:운영 통계|{{{#FA8776 운영 통계}}}]]}}} ||||<:><-3><bgcolor=#ffffff> {{{#FA8776 지찬위키의 기능
[[:분류:분류|{{{#FA8776
분류}}}]] · [[지찬위키:통계|{{{#FA8776 문서 통계}}}]] · [[지찬위키:연습장|{{{#FA8776 연습장}}}]]}}} ||||<:><-3><bgcolor=#ffffff> {{{#FA8776 지찬위키의 분류
[[지찬위키:프로젝트|{{{#FA8776
프로젝트}}}]] · [[지찬위키:주요 페이지 링크|{{{#FA8776 주요 페이지 링크}}}]] · [[지찬위키:보존문서|{{{#FA8776 보존문서}}}]] · [[:분류:파일|{{{#FA8776 파일}}}]] · [[:분류:틀|{{{#FA8776 }}}]]}}} ||||<-6><bgcolor=#ffffff> {{{#FA8776 [[지찬위키:게시판|{{{#FA8776 문의/신고 게시판}}}]] · [[지찬위키:소명/사면 게시판|{{{#FA8776 소명/사면 게시판'''}}}]]}}}
----
파일:소나위키 흰색 로고.png
공식 문서
이 문서는 소나위키의 운영에 사용되는 문서입니다.
== 개요 ==현재 지찬위키는 Vultr의 Cloud Compute 10$ 플랜 VPS와, Uniregistry에서 도메인을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. 비영리인 만큼 광고 수익은 서버 유지비에만 사용하고 있습니다.
== 보고서 ===== 2020년 ~ 2021년 ===|| 2020년 8월 ~ 11월 || 광고 수익금 || 서버 유지비 || 총합 || 비고 |||| || || || || 무료 호스팅사용 |||| 2020년 12월 || 광고 수익금 || 서버 유지비 || 총합 || 비고 |||| 카카오 에드핏 수익 || 0.31$ || -10$ || -9.69$ || 유료 도메인 및 호스팅 전환 |||| 2021년 1월 || 광고 수익금 || 서버 유지비 || 총합 || 비고 |||| 카카오 에드핏 수익 || 0.67$ || -10$ || -19.02$ || 1월 31일
에드센스 승인 |||| 2021년 2월 || 광고 수익금 || 서버 유지비 || 총합 || 비고 |||| 카카오 에드핏 수익 || 6.55$ || -10$ || -22.47$ || 에드센스
개제 제한 |||| 2021년 3월 || 광고 수익금 || 서버 유지비 || 총합 || 비고 |||| 카카오 에드핏 수익 || 5.79$ || -10$ || -26.68$ || |||| 2021년 4월 || 광고 수익금 || 서버 유지비 || 총합 || 비고 |||| 카카오 에드핏 수익 || || -11$ || -36.68$ || ||";2021-04-01 08:46:05;Lwnlcks;;-15;;;6;Crerty;"||<-2><tablealign=right><tablewidth=350><tablebordercolor=#00AFFF><bgcolor=#00AFFF><:>바다위키
badawiki
||||<-2><bgcolor=#ffffff><:> 파일:바다위키 로고 색상.png||||<bgcolor=#00AFFF><:> 슬로건 ||<bgcolor=#FFFFFF> 바다위키, 푸른 정보의 바다. ||||<bgcolor=#00AFFF><:> 사용 언어 ||<bgcolor=#FFFFFF> 한국어 ||||<bgcolor=#00AFFF><:> 사이트 종류 ||<bgcolor=#FFFFFF> 위키 ||||<bgcolor=#00AFFF><:> 위키 엔진 ||<bgcolor=#FFFFFF> openNAMU ||||<bgcolor=#00AFFF><:> 위키 문법 ||<bgcolor=#FFFFFF> 나무마크 ||||<bgcolor=#00AFFF><:> 설립일 ||<bgcolor=#FFFFFF> 2019년 11월 8일 ||||<bgcolor=#00AFFF><:> 소유주 ||<bgcolor=#FFFFFF> BlueWhite ||||<bgcolor=#00AFFF><:> 라이선스 ||<bgcolor=#FFFFFF> CC BY-NC-SA 2.0 KR ||||<bgcolor=#00AFFF><:> 가입 필요 여부 ||<bgcolor=#FFFFFF> 선택 ||||<bgcolor=#00AFFF><:> 서버 위치 ||<bgcolor=#FFFFFF> 일본[1] ||||<bgcolor=#00AFFF><:> 영리 여부 ||<bgcolor=#FFFFFF> 비영리[2] ||||<bgcolor=#00AFFF><:> 현재 상태 ||<bgcolor=#FFFFFF> 운영 중 ||||<bgcolor=#00AFFF><:> 사이트 주소 ||<bgcolor=#FFFFFF> https://badawiki.site ||
== 개요 ==2019년 11월 8일에 만들어진 위키.구 바다위키를 다른 개발자가 이어서 생성했지만, 구 바다위키와 이름과 디자인만 비슷한 사실상 다른 위키이다.
위키 오픈 당시에는 나무위키의 2019년 3월까지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크했으며,사이트의 스킨은 미티리얼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미티리얼 스킨을 자체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.
== 운영진 ==이용자 부족으로 인해 1인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.
== 지찬위키와의 관계 == * 지찬위키 설립 이전에 바다위키를 보고 위키 오픈을 결정했다.[3]
== 지찬위키와의 차이점 == * 지찬위키는 이용자 부족인 오픈당시부터 관선을 해왔으나 바다위키는 이용자 부족으로 1인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. * 지찬위키는 나무위키의 규정 및 극소수의 문서를 수동포크했으나, 바다위키는 나무위키에서 배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포크 했다.


||<-1><|2><tablewidth=100%><width=170px><tablebordercolor=#ff9900><tablebgcolor=#ff9900> 파일: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로고.png ||<-3><width=400px><bgcolor=#ffffff><:> 포크 문서 ||||<:><-3><bgcolor=#ffffff> 위 문서의 원문은 바다위키의 바다위키 214판입니다. ||
[1] 이미지 서버만 미국 서버를 사용 중이다.[2] 광고를 전혀 부착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서버비 부족으로 인해 광고를 달았으며, 광고 수익금 공개 및 수익금을 서버비에만 사용 중이다.[3] 하지만 현실은 시궁창